정부와 노사단체가 산업현장의 안전보건을 확보하기 위해 꼭 지켜야 할 기본수칙 11가지를 발표하고 안전캠페인을 실시하는등 재해줄이기를 적극 추진키로 했다.

사업장의 안전사고는 지속적으로 줄어들다가 국제통화기금(IMF)관리체제이후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지난해만 사업장에서 산재사고로 사망한 근로자는 2000여명에 달하고 5만명이상이 부상을 입어 치료를 받았다.

이에따라 산재로 인한 경제적 손실도 7조원이상을 기록해 노사분규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웃돌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현장에서는 산재로 인해 보이지 않는 전쟁을 치르고 있는 셈이다.

기업경영 환경이 어려워짐에 따라 비용을 줄이기 위해 안전보건에 대한 투자를 축소하다보니 산업현장에서의 재해발생이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선진국의 경험을 보면 산업현장에서의 안전보건 관리 투자와 감독은 경제가 어려울 때 오히려 강화돼 왔다는 것을 알수 있다.

산재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이 투자부담을 능가한다는 것이 선진국 기업들의 오랜 경험을 통해 밝혀진 것이다. 실제로 산재로 인한 보상비, 근로자 사기저하, 노사불신 및 이로 인한 생산성저하 등을 감안할 때 산재예방에 대한 투자가 손해라기 보다는 이익이 된다고 하겠다.

이런점에서 노사정이 함께 모여 안전보건을 확보하기 위한 기본수칙을 정하고 이를 앞장서 실천하겠다고 나선 것은 적절한 정책선택이라고 하겠다.

우리는 지난 92년 밝고 건강한 일터만들기 '무재해 캠페인'을 통해 산업현장의 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여온 경험을 갖고 있다.

이때의 캠페인은 산재사고를 줄여 귀중한 인명을 보호한 것은 물론 산재보상비를 3천 억원가량 절약해 기업과 정부에 적지 않은 도움을 안겨준 실천적 운동이었다.

이번 11대 안전보건 수칙 지키기 운동도 일시적 캠페인이나 구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산업현장에서 실천적 운동으로 승화돼 구체적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치밀한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산업현장의 노사는 다시 한번 산재예방 캠페인이 단지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선언적 운동이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효과적인 기업경영의 한 요소임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정부도 이러한 운동이 실천운동으로 승화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