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계희 기자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이 29일 전격 사퇴했다. 2010년 12월 동반성장위원회가 출범한 지 1년3개월 만이다. 정 위원장은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정부와 대기업을 두루 비판했다. “자리를 지키는 것이 의미가 없다”, “동반성장에 대한 대통령과 국민의 관심을 환기시키기 위해 지금 사퇴하는 것이 최선이다”, “대기업은 성과급 잔치를 벌이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은 생존을 위한 싸움을 하고 있다”며 연거푸 비판을 쏟아냈다.

이명박 대통령이 그해 8·15 경축사를 통해 공정사회를 강조한 뒤 위원회가 발족한 것을 감안하면 심사가 뒤틀려 사퇴했다기보다는 분명한 한계를 느낀 것일 테다. 실제로 정 위원장이 주창했던 초과이익공유제는 빛을 보지 못했다. 대기업의 초과이익을 협력업체와 나누자는 그의 주장은 지난해 2월 제기되자마자 시련을 맞았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은 “사회주의 국가에서 쓰는 말인지, 자본주의 국가에서 쓰는 말인지, 공산주의 국가에서 쓰는 말인지 모르겠다”고 비꼬았다. 관료와 정치인들의 반발이 뒤이었다.

이날 새누리당은 정 위원장 사임과 관련해 조윤선 중앙선대위 대변인 명의로 논평을 냈다. “새누리당은 종전 한나라당의 정강정책을 대체한 ‘국민과의 약속’에서 1번은 복지, 2번은 일자리, 3번은 경제민주화를 명시했다. 새누리당은 경제민주화로 공정한 시장질서를 확립하고 일자리와 복지가 어우러진 그런 경제성장으로, 무너진 사다리를 복원하고 그래서 역동적이고 건전한 사회를 만들고자 한다.”

새누리당은 한나라당과 다르다는 것이다. 과연 그럴까. 이주영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은 지난해 5월 취임한 뒤 “반기업적”이라며 초과이익공유제에 노골적인 반대의사를 밝혔다. 그는 지금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브레인 역할을 하고 있다. 말이 좋다고 해서 누구나 속는 것은 아니다. 가린다고 모든 게 가려지지는 않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