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토지주택공사노조

“노조는 당연히 조합원을 위해서라면 투쟁해야 합니다. 하지만 투쟁보다 더 중요한 것이 조합원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것입니다. 조합원들의 얘기를 더 많이 듣고 조합원을 섬겨야 한다는 의미에서 캐치프레이즈를 ‘섬김노조’로 내걸었습니다.”

지난 1일 오전 찾아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한국토지주택공사노조 사무실 문에는 ‘섬김노조’라는 글자가 선명했다. 이날 <매일노동뉴스>와 만난 조성근(45·사진) 한국토지주택공사노조 위원장은 지난해 10월 강한수 수석부위원장·최정규 부위원장과 함께 ‘섬김노조’를 표방하며 임원선거에 출마해 당선됐고 같은해 11월 취임했다. 강한수 수석부위원장은 상급단체인 공공연맹 사무처장을 겸직하고 있다. 조성근 위원장은 92년 공사에 입사해 노조 경기지역본부에서 19·20대 지부장을 지냈다. 세대교체를 위한 징검다리 역할을 자처한 노조 집행부는 2000년 이후 입사자들과의 소통 강화에도 나섰다. 집행부 절반 이상을 2000년 이후 입사자로 구성했다.

“통합 공사에서 역할을 많이 할 사람들은 2000년대 이후 입사자들입니다. 아무래도 이전 입사자들은 기존 조직문화에 깊이 젖어있으니까요. 섬김노조에서 세대교체를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하려고 합니다.”

조 위원장은 2개월여 위원장직을 수행한 소감을 묻자 “처음 당선됐을 때는 많은 것을 하려고 했는데 지금은 조직문화가 통합되는 과정이다보니 흐름대로 가야겠다는 생각을 한다”며 “조합원들이 피부로 느끼는 현안은 너무 많은데 조직 여건상 만족하게 처리하지 못하는 부분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조직문화 통합과정, 흐름대로 가야”

LH는 지난 2009년 10월 정부의 공공기관 선진화 정책에 따라 한국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가 통합해 출범했다. 통합 공사가 출범한 지 2년이 지났지만 조직문화는 여전히 통합과정 중이다. 노조도 복수노조로 존재한다. 주택공사를 모태로 한 한국토지주택공사노조(위원장 조성근)와 토지공사를 모태로 한 LH노조(위원장 박해철)는 각각 공공연맹과 공기업연맹을 상급단체로 두고 있다.

“공사가 통합되면서 비상경영이 시행됐고 실질적으로 조합원들이 피해를 봤습니다. 통합되면서 복지 규정은 하향평준화됐고, 통합 이후 승진은 전혀 없었어요. 조합원들이 피해본 것이 회복이 안 되고 있습니다. 잃어버린 것을 되찾기 위해 LH노조와도 공동으로 투쟁을 전개할 것입니다.”

조 위원장은 “서로 상대 노조에 대해 인정하고 대화하면서 노노 갈등을 없애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조합원들을 위해 임기 동안 대승적인 노조 통합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위원장은 공사 통합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면서도 정부 정책에 의해 급작스럽게 통합이 진행된 것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드러냈다.

“비빔밥 비비듯 통합됐습니다. 서로 조직문화가 융화될 수 있도록 시간을 두고 통합을 했을 때 진정한 통합이 됩니다. 서로를 배려하면서 했으면 더 낫지 않았겠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비상경영이 시행된 후 1년반 동안 직원들은 주말에도 출근했다. 그럼에도 LH하면 부채 문제가 항상 따라왔다. 조 위원장은 “정부 정책을 추지하면서 발생한 부채”라며 “마치 방만경영에 의해 부채가 발생한 것처럼 외부에 알려져 조합원들이 피해를 봤다”고 토로했다.

“연 매출대비 전체 직원의 임금 포지션은 1% 밖에 안 됩니다. 30조원 매출에 인건비가 3천억원 정도예요.”

“정부 주택·토지정책 일관성 있어야”

조 위원장은 부채 문제와 관련해 해법을 묻자 “정부의 토지·주택 정책이 일관성 있게 유지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참여정부 때 저희가 국민임대사업을 하면서 부채가 많이 늘었습니다. 수도권 택지개발에도 선투자했는데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보금자리라는 신규 사업이 추가됐습니다. 정부가 바뀌더라도 이전 정부에서 시행했던 정책을 인정하면서 꾸준하게 유지해야 공사도 장기적으로 부채도 해소하고 대공공서비스질도 높일 수 있습니다.”

기존 사업에서 투자비를 회수하기도 전에 정권이 바뀔 때마다 신규 사업만 늘어나니 자연스럽게 부채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조 위원장은 “이전 정부가 추진했던 정책이라도 좋은 것이라면 계속 이어가야 공사도 공공기관으로서 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국민임대주택 사업을 예로 들었다.

“처음 임대주택사업을 할 때는 지방자치단체들의 반대가 심했어요. 왜 이미지 안 좋게 임대주택을 짓느냐는 것이었죠. 그런데 요즘 같은 전세난 속에서 임대주택 인기가 얼마나 좋습니까.”

조 위원장은 “정부가 국민들을 위해 일정 정도 부담을 해야 하는 것은 일자리와 주거”며 “주거는 임시방편적인 제도에 의해 되는 것은 아니고 꾸준하게 관심을 가지고 일관된 정책으로 이어졌을 때 국민들에게 혜택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