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노조 허용 뒤 설립된 신설노조는 기존 노조보다 협력적인 성향이 강하고 노조운동도 실리주의로 흐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4일 한국노동연구원이 주최한 기자간담회에서 이성희 연구위원은 "지난 1일 이후 복수노조 설립신고를 보면 제조업종이나 금융업종의 경우 민주노총에서 분화한 노조가 36개로 한국노총(17개)보다 많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연구위원이 지난해 100명 이상 유노조 사업장 3천168곳 중 206곳의 노사 관계자를 대상으로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57.5%가 "복수노조가 설립될 경우 기존 노조보다 협력적일 것"이라고 대답했다. 기존 노조보다 투쟁적일 것이라는 응답은 42.5%에 머물렀다.

이와 함께 복수노조 설립시 파업 발생 건수가 증가하는 반면 파업일수는 짧아질 가능성이 크다. 이 연구위원은 "노조 간 선명성 경쟁으로 파업발생 가능성은 약간 높아질 수 있다"며 "영국에서 81년부터 89년까지 발생한 4천90여건의 파업사례를 분석해 보니, 교섭단위가 5개인 사업장의 파업 발생건수(14.5%)가 교섭단위가 한 개인 사업장보다 7배나 높았다"고 말했다.

그는 파업시 노조 간 분열효과로 인해 파업 지속일수는 짧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실태조사에서도 복수노조 쟁의행위 실패 가능성의 가장 큰 원인으로 '노조 간 분열'이 지목됐다. 이 연구위원은 복수노조 설립으로 중소기업에서 노조 간 주도권 다툼이 첨예할 것으로 전망했다. 사업장 규모가 작으면 과반수 노조가 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이를 둘러싼 조직경쟁이 첨예하게 전개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버스·택시 등 기존노조가 조합원 100명 이하인 사업장이나 기존노조의 조직률이 50% 미만인 사업장이 복수노조 전쟁터가 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에 대기업 사업장은 과반수 노조가 되는 게 상대적으로 어렵고 공동교섭대표단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타협하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봤다.

이 연구위원은 "복수노조 시대를 맞아 무엇보다 노동위원회 역할이 중요해졌다"며 "지방노동위원회의 결정이 복수노조 분쟁의 가장 중요한 결정이 될 수 있는 만큼 조사관의 전문성과 공정성을 제고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