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로 고용편차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고용노동부는 '4월 시·도별 고용동향'을 발표했다. 경남·울산 등 10개 지역은 3월에 비해 고용여건이 개선된 반면 부산·대구는 고용사정이 더 나빠졌다.

4월 기준 전국 고용률은 전월 대비 0.2%포인트 상승한 59.1%를 기록했다. 지역별 고용률은 경남과 제주가 각각 1.7%포인트 상승해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이에 반해 경북지역은 1.5%포인트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국 실업률은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한 3.7%로 집계됐다. 제주가 0.9%포인트 낮아진 반면 인천은 0.5%포인트 높아졌다.

시·도별 고용편차는 지역별로 특화산업이 다르고, 업종마다 경기회복 속도가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노동부는 "수출 위주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울산·경남·경기지역에서 제조업 취업자수 증가와 함께 전반적인 고용여건이 개선됐다"고 밝혔다. 울산에서는 도소매음식숙박업(7.6%), 경남은 전기·운수·통신·금융(21.8%), 경기는 사업·개인·공공(3.2%)에서 고용이 증가했다.

제조업 비중이 낮고 서비스업 비중이 높은 서울의 경우 사업·개인·공공·기타업종의 취업자수(7만8천명) 증가가 전체 취업자수(9만6천명) 증가를 주도했다. 내수 위주 제조업 비중이 높은 부산과 대구는 제조업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취업자수가 감소했다.

이재갑 노동부 고용정책실장은 "지역의 고용상황이 점차 개선되고 있지만 지역의 고용구조에 따라 편차가 나타나고 있다"며 "정부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의 고용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