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규모가 1년 새 27만명이 증가해 3월 현재 577만명을 넘어섰다. 지난 2007년 7월 비정규직법이 시행된 후 최대 규모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에 따르면 3월 현재 임금노동자(1천706만5천명) 가운데 비정규직은 577만1천명으로 지난해 같은달보다 무려 27만3천명(5%)이 증가했다. 정규직이 7만6천명(1.6%)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지난해 늘어난 일자리 10개 중 6개가 비정규직이었던 셈이다.

특히 남성 비정규직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여성 비정규직은 302만1천명으로 2.6% 증가한 데 비해 남성은 275만명으로 7.6% 늘었다. 남성 비정규직 중에서도 근로계약을 반복갱신하는 형태인 비기간제가 전년 대비 19.1%(7만4천명) 늘어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비정규직법 시행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며 "남성 비기간제의 경우 임금수준이 다른 비정규직보다도 높아 고용의 기한을 정하지 않은 채 계속고용하는 무기계약직 형태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시간제는 153만2천명으로 0.5%(7천명) 늘었다. 남성은 4.4%(5만7천명) 증가한 데 비해 여성은 4.4%(5만명) 감소했다. 하지만 전체 비정규직 가운데 여성 시간제 노동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35.6%로 여전히 높았다. 비전형 노동자는 231만1천명으로 6.1% 증가했다. 가정내근로(2만4천명)·용역(6만2천명)·일일근로(4만4천명)·파견(2천명) 등의 분야에서 증가했다. 반면 특수고용직은 1만명 감소했다. 산업별로는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이 47.6%로 가장 높았고, 도소매·음식숙박업(18.2%)과 건설업(11.8%)이 뒤를 이었다.

비정규직 처우는 열악했다. 월평균 임금이 135만6천원으로 지난해보다 8.2% 오르긴 했지만 정규직의 54.7%에 불과했다. 통계청이 관련통계를 처음 작성했던 2004년 8월(65%)과 비교하면 임금여건은 오히려 후퇴했다. 통계청은 "경기회복에 따라 제조업 취업자가 늘면서 비정규직도 증가했다"며 "의료·사회복지 분야에서도 비정규직이 8만여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