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진통을 겪고 있다. 뭔가 산고를 치루는 것이라기보다는 내부 권력투쟁의 서막이 올랐기 때문이다. 지난 재보선 패배가 이명박 체제의 중심에 파열음을 내고 있고, 차기 권력 지형에 보다 유리한 입지를 만들기 위한 세력의 도전 내지는 정치적 쿠데타가 시도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한나라당 내부의 변화는 새로운 한나라당을 표방하고 있지만 그것은 세력 판도를 바꾸겠다는 것이지, 본질적인 보수성이나 수구적 권력의지가 바뀌는 것은 아니다. 민심의 저항과 질타 앞에서 아이쿠 뜨거워라하는 격일 뿐이다. 문제는 일부 언론들이 이런 반란을 꾀하는 세력을 쇄신파 운운으로 불러주고 있다는 점이다.

쇄신파라고 하니 마치 한나라당 내부에 상당한 개혁의지가 있는 인물과 세력이 포진하고 있는 착각마저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이들은 쇄신파라기보다는 소장파 비주류 연합이라고 해야 그 진상이 제대로 드러날 수 있다. 사실 이들이 언제 쇄신적 태도와 의지를 보였던가. 4대강부터 시작해서 서민들의 삶에 고통을 주는 각종 예산편성과 정책에 대해 손을 들어주다가 대통령 이명박의 권력이 흔들리니 그 틈을 타서 배를 바꿔타겠다는 것 아닌가.

그런 판국에 이들이 독주하는 권력에 맞서서 무슨 여권 내부의 민주투사라도 되는 양 비춰주는 언론도 문제가 있다. 물론 여권 내부에서 대통령의 권력에 대해 맞대놓고 비판하려는 몸짓은 주목할 만하다. 그것은 그 몸짓 자체의 가치가 있어서가 아니라 이명박 체제의 붕괴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원내대표를 지낸 안상수마저도 그런 식이니 이명박 체제의 운명은 조만간 조락의 신세를 면치 못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기억한다. 그들이 질타하고 문제 삼는 이명박 체제의 중심에는 이들의 정치적 선택과 행동이 있었다는 사실을 말이다. 이명박 체제의 존속과 유지, 그 횡포에 가까운 통치방식은 누구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던 것인가.

따라서 이들 한나라당 내부의 반란 내지는 반격을 취하는 세력도 모두 이명박 통치의 잘못에 있어서 공동정범의 범주에 들어가야 마땅하다. 나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식으로 빠져나가고 피해가는 자들은 그야말로 기회주의적 처신을 하는 것이며, 다만 권력이동의 과정에서 나는 어떻게든 살아남겠다는 의지를 발휘할 뿐이다.
 
그런 까닭에 우리는 한나라당 내부의 변화라는 것은 잃어버린 민심을 되찾겠다는 절체절명의 요구에 따른 것이기는 하나, 민심이 떠나는 데에 이들 역시도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자성의 표현부터 시작돼야 옳다고 본다. 서민들의 삶이 고통스러워지고 미래가 잘 보이지 않게 된 것은 한나라당의 부자들을 위한 정책과 복지예산을 무자비하게 삭감한 예산통과의 부작용이다.

부자당이라는 오해와 이미지를 씼겠다고. 그게 어디 오해요, 이미지인가. 본질이 아니었던가. 그랬기에 집권했고 그랬기에 기득권을 누렸고 그랬기에 보수세력의 지지를 받아왔던 것 아닌가. 그러다가 이제는 그렇게 해서는 쫄닥 망하겠구나 하고 뒤늦게 깨닫고 어떻게 해보려는 것 아닌가. 하지만 자신들의 책임은 쏙 빼놓고 대통령의 책임만 거론한다든지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정말 문제를 느꼈다면 문제가 보였을 때 이미 시작해야 할 비판을 이제서 하는 것은 아무래도 비겁하지 않은가. 비판당하는 권력이 뜨는 해라면 이러겠는가. 지는 해니까 거기에 대고 마구 발길질 해보는 것 아닌가. 침도 뱉고 말이다. 그래야 자기의 혐의는 벗고 누구 하나를 정범으로 만들 수 있다고 보는 것 아니겠는가.

더 큰 문제는 이런 식의 한나라당 변신에 국민들이 속지 않을까 하는 점이다. 아, 저러다가 정신차리겠구나, 미워도 다시 한번, 뭐 이런 식이 되면 매우 곤란하다. 뒤늦더라도 잘하면 잘 한다고 해야되지 않겠는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소 자영업자들에게 타격을 주는 한·EU FTA에 대한 대응책도 마련하지 않고, 민노당 이정희 대표의 반대토론도 조롱한 자들이 바로 이들이 아니었던가.

이러고도 “우린 달라졌어요”라고 할 수 있을까. ‘버려야 할 것은 음식 쓰레기가 아니라 잘못된 음식 문화입니다’처럼 달라져야 할 것은 외양이 아니라 그 속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